총 401 개의 콘텐츠가 있습니다.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조선의 동남해안 방어의 책임을 맡고 있던 경상좌수사 박홍(朴泓)은 경상좌수영성과 백성을 버리고 도망을 쳤고, 경상좌수영성을 점령한 왜군은 7년 동안이나 이곳에 주둔하며 약탈과 살육을 감행하였다. 이와 같은 왜군의 침략에 맞서 경상좌수..
범어사의 창건에 관한 기록을 새긴 목판으로 모두 3종류이다. 3종 모두 1700년에 판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판의 규격은『범어사기(梵魚寺紀)』가 전체 65.0cm×24.8cm, 내곽 46.4cm×24.8cm, 범어사창건사적(梵魚寺創建事蹟) 및『범어사고적(梵魚寺古蹟)..
가덕도는 낙동강 하구의 서쪽 해상에 위치하고 있는 섬으로, 면적 20.75㎢, 둘레 약 36㎞로 부산에서 제일 큰 섬이다. 섬 대부분이 구릉 및 산악지로서 토양은 엄쇄토(嚴碎土) 및 산성색 산림토(酸性色 山林土) 등의 양질토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토질은 중생대 백악기..
가덕도 등대는 1909년 12월에 완공된 등대로, 대한제국 때 건립한 41개의 유인(有人) 등대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등대가 등탑과 부속사를 별도로 건립하는 것과 달리 8각형의 등탑을 부속사의 중앙에 올려 세워 등탑과 부속사를 단일 건물로 구성한 상당히 이례적인 등대..
척화비는 조선 말기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에 대한 대외정책의 표방과 대국민 각성을 위해 흥선대원군이 펼친 쇄국정책(鎖國政策)의 상징물로서 전국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천가초등학교 교정에 있는 가덕도 척화비는 부산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척화비(부산광역시지정 기념물 제18..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지역의 전통 무격의식(巫覡儀式)에는 이른바 ‘시나위’라고 하는 무속음악이 전승되어 오고 있는데, 이러한 무가(巫歌), 기악합주, 춤 등이 무격의식에서 벗어나 순수한 연예의 목적으로 연주되면서 순수 예술로 발전하여 판소리, 산조, 민속무용 등으로..
○ 감지금니묘법연화경은 감지(紺紙)에다가 구마라집 한역의 제20품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부터 제24품 「묘엄보살품(妙音菩薩品)」까지 분과품명과 경전내용을 금니(金泥 : 금가루를 섞은 물감)로 필사한 사경(寫經)으로, 8권본 가운데 권7에 해당한다. 본 사경은 책..
이 작품은 1734년(영조 10년) 2월 9일 영조(英祖)가 창덕궁 희정당(昌德宮 熙政堂)에서 친정한 것을 기념하여 제작된 비단 바탕의 8절면 화첩(畵帖) 형식 그림이다. 친정이란 왕이 직접 인사행정을 하는 행위로서 문관의 인사권을 가진 이조(吏曹)와 무관의 인사권을..
이 작품은 19세기에 제작된 군현지도로 거제도를 중심으로 주변 군현을 8폭의 병풍에 담은 지도와 풍속화가 결합되는 형태의 회화식 지도이다. 수리한 흔적은 없으며,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제1폭에 대마도계(對馬島界), 제7폭에 웅천계(熊川界), 통영계(統營界), 제8폭에..
부산대학교도서관 소장 거제선생안은 거제도 지역에 재임한 역대의 수령을 순차적으로 추가하여 기록한 누가식(累加式) 필사본 2책으로, 16세기 전반기부터 1907년까지 재임한 수령들의 관계(官階), 임명․부임․교체 시기, 이임 사유 등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 시기까지의 거..